
북항재개발사업으로 현재 비어있는 자성대부두의 안벽을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업계의 요청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자성대부두 안벽에서 수리조선을 허용해 달라고 요청한 선사는 HMM 장금상선 고려해운 등 국내선사와 외국적선사, 그리고 부산의 조선업체 등 수십 곳에 달하고 있다.
특히 영도 소재 영세 수리조선소들은 국적선이라고 이곳에서 수리가 가능토록 해달라고 연일 '호소'하다시피 하고 있다.
이처럼 업계의 요청이 쏟이지는 것은 국내에 수리조선시설, 특히 안벽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소한 수리가 필요해도 중국 저우산 수리조선소를 찾아야 하니 불편과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부산항만공사(BPA)가 대승적 차원에서 이용을 허가해주길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자성대부두 안벽 이용 허가만 나면 신청을 하는 선박만 수백척에 달할 정도로 수요가 넘친다"고 덧붙였다.
BPA도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이를 긍정적으로 보고 부산해양수산청 등과 협의를 진행했으나 '곤란하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BPA 관계자는 "자성대부두 안벽을 2027년 12월까지 놀리기 보다는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도록 활용하는 방안을 다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하지만 보안성 문제에다 수리조선으로 인해 발생할 매연과 소음 등 문제점들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
BPA는 앞서 지난달 자성대부두 야드 중 일부를 항만장비 제작 및 적재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한 바 있다. 유휴부두의 활용성을 높이고 부산의 국산 장비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취한 조치다.
업계에선 지역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찍은 BPA가 좀 더 과감하게 나설 것을 주문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도장이나 엔진 교체와 같은 소음, 환경오염이 심한 작업은 제외하고 엔진점검보수와 같은 간단한 작업은 허가해도 되지 않겠느냐"며 "안벽 이용시간도 48시간 이내로 한정하는 등의 방식을 검토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해양수산부가 추진해온 부산항 신항에 수리조선단치를 조성하는 사업은 10년 넘게 차질을 빚으면서 사업 자체가 공중분해될 위기에 처해 있다.
해수부가 민간투자 방식으로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원하는 사업자가 없기 때문이다.
부산항 신항 수리조선 건설사업은 부산항 신항에 선박 수리·개조 시설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2013년부터 민간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도크와 플로팅도크를 각각 1기씩 설치하며, 의장안벽 3선석 조성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총사업비는 4100억원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