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중공업이 5년간 멈춰 있던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한다.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에서 28일 군산조선소 재가동 선포식을 진행했다. 행사에는 △한덕수 국무총리 △김관영 전북도지사 △한영석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5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했을 정도로 규모가 큰 사업장이다. 지난 2017년 7월 조선 경기 악화 등을 이유로 가동을 멈췄다.
장기 불황으로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던 현대중공업은 최근 조선업황이 상승 국면을 타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구체적으로 지난 2월 전라북도와 현대중공업, 군산시가 재가동 협약식을 맺은 뒤 사내협력사와 직원 모집 등을 진행했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가면 한해 10만톤의 선박 블록을 추가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격적인 가동은 내년 1월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새만금과 연계해 군산이 '친환경 조선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으로 우리가 압도하는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의 세계 점유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산 지역에 조선소가 위치해 있다는 사실은 한국의 균형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윤 대통령이) 군산조선소가 좋은 경영실적을 낼 수 있도록 정부로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꼭 전해달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군산조선소는 그간 전북 제조업의 12%, 군산 산업의 24%를 책임져왔던 만큼 재가동으로 인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예상된다.
정부는 최근 '조선산업 초격차 확보전략'을 마련해 다각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어 조선업에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현재 64% 수준인 고부가가치 선박 점유율을 2030년까지 75%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생산 공정 디지털 전환 촉진과 연구개발(R&D), 금융, 물류 지원 등으로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고질적인 조선업계 인력난에 대해서도 한 총리는 "특별연장근로 확대 등을 통해 현장의 부족한 인력 문제를 해소하고 근로자의 실질적 임금은 높여나가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