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흐림동두천 0.0℃
  • 흐림강릉 2.1℃
  • 서울 1.6℃
  • 대전 3.3℃
  • 대구 4.3℃
  • 울산 3.2℃
  • 광주 3.4℃
  • 부산 4.9℃
  • 흐림고창 1.9℃
  • 제주 8.5℃
  • 흐림강화 0.3℃
  • 흐림보은 2.0℃
  • 흐림금산 2.3℃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3.8℃
  • 흐림거제 4.7℃
기상청 제공

영국왕실의 남다른 바다 사랑

 

노블레스 오블리주, 영국 왕실에 군 미필은 없다

 

영국은 다 알다시피 바다를 통해 대영제국을 건설하여 전 세계 면적과 인구의 1/4을 지배하는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영국인들의 바다사랑은 참으로 대단한데 그중에서도 영국왕실의 바다사랑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이다.

 

영국 왕실의 남자들 즉 왕자들은 대대로 군에 복무하는 전통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우선적으로 해군에 복무하는 것이 왕실 전통이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얼마 전에 영면한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의 조부이자 윈저(Windsor) 왕가를 연 조지 5세와 부친 조지 6세는 모두 해군에 장교로 복무하여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엘리자베스 2세도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였는데 여왕은 2차 대전중 영국의 국방군에 자원 입대하여 보급 장교로서 임무를 수행했다고 한다. 2021년 99세에 세상을 떠난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남편 필립 공도 해군함정에서 갑판사관 장교로 복무하였으며 2차 세계대전 기간중 해군대위로 참전한 바 있다. 여왕의 아들로 뒤를 이은 찰스3세 왕도 1970년대 해군에 입대하여 전투기 조종사로 근무한 바 있다.

 

왕실은 아니지만 영국을 2차 세계대전의 패배에서 구한 처칠 수상도 1차 세계대전 기간 중에는 해군 장군으로 복무하면서 영국해군을 지휘한 바 있다.

 

영국이 바다의 국가이니 당연히 해군에 입대하는 전통이 있다고 볼 수도 있으나, 영국왕실이 솔선수범해서 군대에 입대를 하고 심지어는 전쟁에 참전을 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면 참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들에게 군 미필의 모습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 사회의 지도자들이나 엘리트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이자 아쉬운 대목이 아닌가 한다.

 

 

영국에는 왕실의 전용선박

 

통상 국가에는 대통령이나 왕 또는 수상들이 해외 순방이나 국내 방문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용비행기가 있다. 당연히 우리나라도 공군1호기(Air Force One)라 하여 대통령 전용비행기가 있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는 대통령이 이용하는 전용 기차(Train One)가 별도로 편성되어 있는데 이 사실은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그런데 영국에는 해양국가 답게 여왕이나 왕실이 이용하는 전용선박이 있었다. 영국 왕실의 전용 선박은 단지 여행하는 운송수단이 아닌 국가를 위한 외교의 수단이다. 이 왕실전용 선박의 이름은 영국을 상징하듯이 ‘브리타니아’ (Britannia)호인데, 영국 엘리자베스 2세가 즉위한 이듬해인 1953년 진수되어 1997년 퇴역할 때 까지 44년간 전 세계 주요 국가를 항해하여 방문하면서 해양국가 영국의 자존심을 세계 각국에 알리는 외교사절의 역할을 하였다.

 

이 선박에는 레이건이나 클린턴 또는 넬슨 만델라 대통령 등 세계의 유명 인사들이 초대 되었는데 브리타니아 호 초대는 곧 세계명사 대열에 합류하게 됨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람도 수명이 있듯이 브리타니아호는 1997년 퇴역을 하게 된다. 브리타니아 퇴역 이후에 당시 1,000억원이 넘는 막대한 건조비용 문제와 더불어 1997년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교통사고에 따른 사망 등 왕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등으로 인해 현재는 왕실의 전용선박이 없는 상황이다. 매우 많은 영국인들이 아쉬워하는 대목이다.

 

그러나 영국이 해양국가라는 사실과 영국인들의 바다에 대한 애정을 생각하면 앞으로 왕실전용 선박에 대한 논의가 다시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갑자기 우리나라 대통령의 전용 선박은 언제쯤 보게 될지 궁금해진다.

 

 

육해공군 아니고 해공육군이야!

 

우리는 군을 호칭할 때 육해공군 순으로 당연하게 부른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해양 국가답게 해공육군으로 부른다. 게다가 해군은 왕립해군이라는 의미로 ‘Royal Navy’라 불리는데 육군이 ‘Royal’없이 그냥 육군 ‘Army’라 불리는 것과 대비된다. 물론 여기에 여러 가지 역사적인 사정이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군에 대한 호칭이 무슨 대수냐고 반문할 수도 있지만 바다에 이러한 인식과 사랑이야 말로 영국이 바다의 나라로 우뚝 설수 있었던 근본 힘이자 아직도 석양에서 해가 완전히 지지 않는 영국을 지탱하는 버팀목 아닌가 한다.